따뜻한 마음이 안겨 준 선물 <기적> 영화 줄거리
<기적>은 2021년 9월 15일 개봉한 한국 영화로 기차역이 없는 시골 마을의 고충과 아픔을 그린 가족 영화입니다. 영화 기적은 유명 아이돌 소녀시대 출신의 윤아와 요즘 흥행하고 있는 영화<밀수>의 주인공 박정민이 주인공을 맡아 화제가 되었습니다. 오고 갈 수 있는 길은 기찻길 하나밖에 없지만 정작 기차역은 없는 마을에 마을에도 기차가 다니길 바라는 마음으로 오늘까지 딱 54번째 청와대에 편지를 쓰고 있는 준경(박정민)의 모습입니다. 아무리 청와대에 편지를 써도 기차역은 어림도 없다는 원칙주의 기관사 아버지 태윤(이성민)의 반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누나 보경(이수경)과 마을에 남는 걸 고집하며 학교까지 왕복 5시간 통학 길을 오고 가는 준경의 모습입니다. 이렇게 엉뚱한 준경의 비범함을 알아본 자칭 뮤즈 라희(임윤아)는 준경과 친해지고 싶어지고 결국 이들은 친한 친구 사이가 됩니다. 준경의 사정을 알게 된 라희는 최선을 다해 준경을 돕기로 결심하고 이어 준경과 함께 설득력 있는 편지를 쓰기 위한 맞춤법 수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유명세를 얻기 위한 장학퀴즈 테스트부터 직접 대통령을 만날 수 있는 대통령 배 수학경시대회 응시까지, 오로지 마을에 기차역을 세우기 위한 준경의 노력은 계속되고 이러한 노력 속에 과연 준경과 라희는 마을 사람들을 위한 기차역을 세울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는 영화 <기적>입니다.
배우들의 활약
기적의 스토리는 시골 소년 준경의 순수함과 그런 순수함을 좋아하는 부잣집 딸 라희의 청춘 로맨스를 그리며 동시에 가족들에 대한 소중함을 담고 있는 영화입니다. 이런 스토리가 잘 전개될 수 있게 도와준 건 다름 아닌 영화 속 등장인물의 캐스팅이었다고 생각하는데 먼저 시골 천재소년의 순수함과, 영리함이 잘 돋보일 수 있게 그 지역의 억양과 말투, 사투리 등을 완벽하게 구사하며 순수한 시골 소년을 완벽히 소화한 배우 박정민, 여주인공으로 캐스팅된 배우 임윤아 역시 순수 소년 준경을 좋아하는 새침데기 부잣집 딸 라희 역할을 완벽하게 소화했고, 작년에 메가 히트를 쳤던 <재벌집 막내아들>로 대중들의 큰 사랑을 받았던 배우 이성민 역시 융통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앞뒤 꽉 막힌 아버지 기관사 태윤 역할을 훌륭하게 소화해 관객들이 영화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준경의 하나뿐인 누나 역할로 나온 배우 이수경은 마지막 반전 연기를 통해 관객들에게 놀라움을 안겨주었습니다. 영화 속 등장인물을 소화하기 위한 배우들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고 싶고, 앞으로도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와 활동을 기대합니다.
영화 평가
영화 기적의 국내 반응으로는, 욕심과 과장 없이 소박하게 펼친 이야기라 마음에 더 깊이 와닿는다, 여러 번 체에 걸러 불순물 없이 깨끗하고 고운 진심만 남겨둔 듯한 영화라는 영화의 분위기처럼 따뜻한 호평들이 이어졌고 국내 포털사이트 네이버 영화 기준 기자 평론가 평점(6점), 관람객 평점(9.16점), 네티즌 평점(9.24점)을 기록하며 전체적으로 높은 평점을 받았습니다. 평론가들의 반응을 살펴보면 반가운 기차 소리처럼 날아든 고운 이야기, 사랑의 기적, 꿈의 기적, 가족의 기적,이라는 제목들과 함께 따뜻한 리뷰들을 남겨 영화 기적에 대한 훈훈한 평들이 이어졌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영화가 주는 시골의 순수함과, 따뜻한 분위기가 좋았습니다. 하지만 세상에 아픔 없는 사람들이 없듯 준경이 그토록 포기하지 않고 마을에 기차역을 세우려고 했던 이유 뒷면에는 준경과 아버지의 큰 아픔이 숨겨져 있었는데 이러한 아픔을 밝히는 과정 속에서 생각지도 못한 반전으로 숨겨둔 연출이 다소 충격적으로 큰 놀라움을 자아냈던 것 같습니다. 또 영화의 포인트가 되는 부분이 있다면 가족 간의 갈등이 점점 해소돼 가는 부분에 있어서 가족의 소중함과 주변 사람들의 소중함, 연인의 소중함을 떠올리게 해주었던 것 같습니다. 자극적인 콘텐츠가 각광받고 있는 시대에 이렇게 가족들과 주변사람들의 소중함, 그리고 따뜻함을 전하는 영화들도 많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며 이상으로 오늘의 영화 리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