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전을 시작한다, 항일 조직 스파이 <유령> 영화 정보 및 요약
영화 <유령>은 1933년 일제강점기 당시 경성에서 항일조직의 스파이로 활동했던 독립운동가 흑색단의 이야기를 다룬 이야기입니다. 작품의 메가폰은 이해영 감독이 잡았고 제작은 제작사 LAMP에서 맡았습니다. 1933년 일제강점기, 경성에서는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싸우기 위한 항일조직 흑색단의 의병들이 각자 경성 곳곳에 흩어져 일제에 저항하기 위한 스파이 활동을 조용하고 강렬하게 이어가고 있었습니다. 이런 흑색단의 활동을 일제는 유령이라고 불렀고 이러한 유령들의 활동을 강하게 견제하며 유령들을 색출하기 위해 일제는 혈안이 되었습니다. 이런 시국에 새로 부임한 경호대장 카이토(박해수)는 의병 흑색단의 스파이인 유령들의 총독 암살 작전을 막기 위해 조선총독부 내부에 숨어든 유령들을 잡으려고 함정을 만듭니다. 유령 색출이라는 명분을 가지고 경호대장 카이토는 유령으로 의심 가는 사람들을 마구잡이로 잡아들여 수사를 시작합니다. 본인들이 왜 끌려왔는지 영문도 모른 채 아무도 없는 외진 벼랑 끝 호텔에 갇힌 용의자들의 모습들이 보이고 체포된 용의자들로는 조선총독부 통신과 감독관 쥰지(설경구), 암호문 기록 담당 차경(이하늬), 정무총감 비서 유리코(박소담), 암호 해독 담당 천계장(서현우), 통신과 직원 백호(김동희), 용의자들로 지목된 이들에게는 하루의 시간이 주어집니다. 하루 동안 유령의 존재를 밝히던 지, 고발해야 이 호텔을 나갈 수 있습니다. 반드시 살아돌아가 의병 동지들을 구하고 총독 암살 작전을 성공시켜야만 하는 흑색단의 스파이 유령들과 무사히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일반인들 사이의 의심과 경계는 점점 거세지는데, 과연 유령은 무사히 일제의 수사망을 빠져나와 작전을 성공하고 동지들을 구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는 영화 <유령>입니다.
그리고 등장인물
유령의 주된 스토리는 1933년 당시 혈안이 되었던 일제의 흑색단 검거를 바탕으로 흑색단의 스파이인 유령들의 첩보 작전을 다룬 이야기입니다. 첩보물이다 보니 극은 긴박하게 박진감 넘치는 장면들이 많이 연출됩니다. 극의 긴박함과, 박진감, 그리고 첩보 액션에 몰입을 도와준 건 단연코 배우들의 연기력 덕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명실상부 대한민국의 충무로 대표 연기파 배우 설경구, 그리고 다양한 역할로 본인의 매력을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는 배우 이하늬, 넷플릭스 공무원이라고 할 정도로 요즘 안 나오는 작품이 없는 훌륭한 연기파 배우 박해수, 청춘, 멜로, 공포, 드라마 등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훌륭하게 소화하고 있는 배우 박소담, 특유의 재치와, 말재간으로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요즘 신 스틸러로 떠오르는 배우 서현우 등 대한민국 훌륭한 연기파 배우들의 연기력 덕분에 영화에 더욱더 몰입하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수사를 좁혀 갈수록 타이트한 긴장감과 넘치는 박진감을 잘 표현해 준 배우들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새로운 시도라는 평가
영화 <유령>의 국내 반응은 먼저 국내 포털사이트 <네이버 영화> 기준으로 기자 평론가 평점 (5.9점), 관람객 평점 (6.54점) 네티즌 평점 (6.28점)을 기록했고 포털사이트 <다음 영화>에서는 평점 (5.9점)을, <씨네 21>에서는 전문가 별점 (5.71점), 네티즌 별점 (6.33점)을 기록했습니다. 영화 <유령>의 총 제작비는 137억 원으로 손익분기점은 335만 명이었으나 영화의 총관객 수는 66만 4천 명을 기록해 아쉽게도 흥행하진 못했습니다. 영화 속 긴장감 넘치는 액션과 영상미(미장센)는 좋았지만 예상 가능한 스토리와 마지막 유령에 대한 부분에서도 큰 반전이 없어 아쉬웠다는 평들이 이어졌고, 이외에도 영화에 젠더 속성이 존재한다는 의견들이 다분했지만 항일 독립운동에 여성을 주인공으로 다루었다는 점은 새로운 시도였다는 평가도 이어졌습니다. 전체적으로는 기대에 비해 내용이 아쉬웠다는 평들이 많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익숙하지만 새로운 느낌의 분위기들이 보여 흥미로웠던 기억이 납니다. 일제강점기를 바탕으로 한 독립운동 영화의 친숙한 느낌이 나면서도 새롭고 참신한 분위기를 연출한 장면들이 순간순간 보였고 그런 장면들이 보일 때마다 제작진들과 배우들이 신경을 썼다는 점들이 느껴졌습니다. 그리고 매번 느끼는 부분이지만 저렇게 목숨 걸고 나라를 지켜준 분들이 계셨기 때문에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을 수 있구나 라는 것들을 느끼며 피와 땀으로 얼룩진 대한민국의 역사와 나라를 위해 희생했던 독립투사분들의 마음을 헤아리며 영화를 시청했습니다. 우리 모두 나라를 위해 희생한 많은 분들의 헌신과 숭고함을 잃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오늘 영화 리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